s s

육군 낙하 훈련의 대한 말이 다 달라 진실이 궁금합니다 육군학교 홈페이지에서 봤을 때 110층 높이에서 낙하산을 메고 떨어지는 훈련하는

2 2 2 2 2

육군 낙하 훈련의 대한 말이 다 달라 진실이 궁금합니다 육군학교 홈페이지에서 봤을 때 110층 높이에서 낙하산을 메고 떨어지는 훈련하는

육군학교 홈페이지에서 봤을 때 110층 높이에서 낙하산을 메고 떨어지는 훈련하는 게 있습니다. 그 훈련이 무조건 참여인 지 궁금하여 지식인에 물어봤는데 10층 높이라고 하시는 분도 계시고 5~6층 높이라고 하시는 분도 계시고 270층 이라고 하시는 분도 계셔서요. 또 모형탑 훈련과 실제 낙하산 메고 떨어지는 낙하 훈련의 높이가 같은지 궁금합니다..

cont
image

잘 알지도 못하면 쓸데 없는 유튜브 보고 질문 마세요 훈련은

막타워라는곳에시작하는데 한국 미국 모든 나라가 기본입니다

인간이 가장 큰 공포를 느낀다는 11m에서 뛰어내리는 모형탑 훈련

특전사 낙하산 강하 (JUMP)

낙하산 강하 훈련은 적지에 공중으로 침투하는 특전사에 있어서 가장 기본적인 훈련임.

공중으로 침투한다하여 공수부대라고 불리기도 하는데, 이훈련은 매년 정기강하와 특별훈련시(독수리훈련, 시범강하 등) 이루어지는 비정기 강하가 있다.

또한 주간강하, 야간강하, 무장강하, 산악강하 등으로 이루어진다. (주로 무장 상태의 야간강하가 많음)

강하시 등뒤에는 주 낙하산을, 가슴에는 예비낙하산을 , 그리고 그 아래에 2-30Kg군장을 달고

점프를 하게 되는데, 이때 제대로 걷기가 불편하여 비행기 탑승시 뒤로 걷는 경우도 많으며, 비행기에서 뛰어 내릴때도 과감히 비행기를 이탈하는 탄력을 받지 못해 간혹 비행기밖에 매달려 비행기에 끌려가는 경우도 있음.

헬기 강하도 간혹 있지만 주로 수송기(C-123 , C-130)를 이용한 강하가 대부분임

이단계 이후는

H.A.L.O. (High Altitude-Low Opening) 고고도 강하 저고도 개방)

낙하산 부대의 공수작전 가운데 하나로, 높은 고도에서 강하, 낮은 고도에서 낙하산을 개방하여 침투하는 군용 고공강하 방식을 의미

10,000ft(약 3,000m) 이상의 상공에서 항공기를 이탈해 종단속도로 자유낙하를 하다 2,500ft(약 800m)~4,000ft(약 1,200m)에서 낙하산을 개방하여 착지에 이르는 기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