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 됩니다

일본어 가능형으로 바꿀 때 조사 が 일본어에서 가능형으로 바꿀 경우 앞에 조사는 が로 바꾸는 걸로 알고

일본어 가능형으로 바꿀 때 조사 が 일본어에서 가능형으로 바꿀 경우 앞에 조사는 が로 바꾸는 걸로 알고

일본어에서 가능형으로 바꿀 경우 앞에 조사는 が로 바꾸는 걸로 알고 있는데を를 쓰는 경우도 있나요?예를 들어, 하늘을 날다 -> 하늘을 날 수 있다空が飛べる가 아니고 空を飛べる이거는 이유가 뭔가요?
cont
일본어 가능형으로 바꿀 때 조사 が 일본어에서 가능형으로 바꿀 경우 앞에 조사는 が로 바꾸는 걸로 알고의 이미지

일본어 동사 가능형(飛べる)은 상태를 나타내는 표현..그래서 마치 형용사인 것처럼 기본적으로 조사 が를 가집니다.

그러나 원판은 동사. 동작의 느낌이 강해질 수록 を를 쓸 확률이 높아집니다. (말하는 사람 맘대로)

그리고 헷갈리는 사항

飛ぶ는 이동 동사기 때문에 조사 を 앞에 오는 건 목적어가 아니라 지나가는 장소입니다.

그래서 飛べる가 되어도 조사 を를 그대로 쓰는 게 맞습니다.

道を歩く

道が歩ける(×)

道を歩ける

다른 동사로 설명합니다.

ピーマンを食べる。

피망을 먹는다.

ピーマンが食べられる。

피망을 먹을 수 있다.

ピーマンを食べられるようになった。

피망을 먹을 수 있게 되었다.

「ようになった」라는 어구의 추가로 동작성(행동스러움)이 강해졌기 때문에 ピーマンを 사용